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 2위 벚나무

이미지
벚나무 소개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는 높이 약 20 m로 자라는 나무로 4~5월에 벚꽃을 피우고 6~7월에 열매(버찌)가 열린다.  넓은 의미로는 벚나무아속 벚나무절에 속한 나무들을 통틀어서 이르지만, 좁은 의미로는 벚나무절에 속한 종 중 '벚나무(Prunus jamasakura)'를 가리킨다. 자생력이 아주 뛰어나다.  팔만대장경판의 반 이상이 벚나무 재질임을 보아도 알 수 있다. 껍질도 매우 질겨서 조선 시대에는 주력 무기인 각궁을 만들 때 벚나무 껍질로 겉면을 감아 마무리를 했다.  또한 김구의 백범일지에도 "함경도에선 초가 대신 벚나무 껍질로 지붕을 만드는데, 한 번 뿌리를 내리면 여간해선 벗겨지지 않는 탁월한 응집력에 김구가 감탄했다"는 일화가 있다.  공해에도 강하여 자동차의 매연 등 공해가 심한 도심의 가로수로 심기도 한다. 위에 썼듯이 목재로서 아주 우수하다. 결이 아름답고 매우 단단하여 가구나 식기로 만들어 썼다.  잘 마른 상태에서는 웬만한 가정용 톱으로는 잘 잘리지 않고, 옹이에 걸리면 대패 이가 빠질 만큼 단단하다. 목재의 향이 좋아서 바비큐 훈연 목재로 최상이다.  다른 장미나무속이나 벚나무속 과실나무들도 마찬가지이나, 훈연재로 쓰면 아주 고급스럽고 우아한 향기가 나며 쇠고기, 돼지고기, 새고기에 다 잘 어울린다. 더불어 한반도의 웬만한 산에서 자생하고, 가로수로 많이 쓰는 나무라서, 자연히 꺾인 가지라든지 봄철 지자체에서 가로수 가지치기할 때 손쉽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수명이 짧은 것으로 오해하곤 하지만, 화엄사 올벚나무는 400년을 살았고, 일본에는 천 년이 넘는 올벚나무가 여러 그루 있는 등 종류에 따라 다르다.   나무 자체는 튼튼하고 상처를 입히기도 어렵지만 한번 상처가 나면 취약하다. 가지를 꺾으면 노출된 단면부터 썩어들어간다.  가지치기를 할 때에도 정말 최소한의 가지만 잘라야 한다. 봄철에 피는 벚...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 1위 소나무

이미지
소나무 소개 소나무목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겉씨식물. 좁은 의미로 쓰일 때는 동아시아와 러시아 동부 지역에서 자생하는 적송(학명: Pinus densiflora)만을 가리킨다.  넓은 의미로 쓰일 때는 아시아 뿐만이 아니라 북미, 유럽 등 북반구 온대~아한대 지역에 걸쳐 자생하는 소나무속(Pinus)의 여러 종들을 가리킨다. 대표적인 침엽수이다.  일반적으로 침엽상록수는 중심 줄기가 곧게 일자로 높게 뻗는 것이 특징이나, 소나무는 중심 줄기가 휘어져서 구불구불하게 자라므로 각자의 환경에 따라 나무마다 구부러지는 모양이 다르다.  즉, 각 개체는 저마다 고유의 개성을 가지고 있으며, 험한 환경일수록 이러한 구부러짐을 더 관찰할 수 있으므로 그 줄기에서 자연을 이겨내는 나무의 강한 생명력과 역동성을 느낄 수 있다.  소나무의 나무 껍질은 적갈색이며 나이를 먹을수록 표면이 거북의 등껍데기처럼 갈라진다. 이 모양이 마치 철갑(鐵甲)을 두른 듯 보인다고도 하여 한국에서는 이를 애국가에서도 언급하고 있다.  게다가 소나무는 상록수이고, 냉해(冷害)에도 강해서, 비바람과 엄혹한 추위에도 이를 견뎌내는 불굴의 기상을 보여준다고 하여 조선의 선비에게도 많은 사랑을 받은 나무이다.  율곡 이이는 세한삼우(歲寒三友)[4]로서 송(松) · 죽(竹) · 매(梅)를 꼽았고, 윤선도는 시조 오우가(五友歌)에서 소나무를 벗으로 여겼으며, 추사 김정희는 세한도에서 어려울 때 도와준 벗(友)을 위해 그 고결함을 기리는 마음에서 겨울철 소나무를 그려주기도 했다.  또한 전해내려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꿈에서 소나무를 보면 벼슬을 할 징조이고 솔잎이 무성함을 보면 집안이 번창하며 꿈에서 송죽 그림을 그리면 만사가 형통한다고 하며, 반대로 꿈에서 소나무가 마르면 병이 들 징조로 해몽하기도 한다.  병충해 다른 나무가 그렇듯이 소나무를 위협하는 존재로는 병충해(病蟲害)가 있다. 과거에는 솔나방의 유충인 송충이,...

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 버드나무

이미지
버드나무 소개 버드나무속(Salix)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을 널리 이르는 말이다. 전세계에 분포한다. 한국에서 그냥 '버드나무'라고 하면 Salix koreensis종을 가리키며, 그 외에도 수양버들(S. babylonica)과 갯버들(S. gracilistyla)이 흔하다.  유럽에서는 일반적으로 S. alba종을 가리킨다. 높이가 20m, 지름 80cm에 달한다. 꽃은 4월에 피고 열매는 5월에 익는다.  은행나무처럼 자웅이체인 것도 특징이다. 그래서 봄에 날리는 버들씨가 싫으면 수그루만 심으면 된다. 아래로 축 늘어진 가지와 길쭉길쭉한 잎이 트레이드마크로, 식물에 별 관심 없는 사람도 멀리서 봐도 한 눈에 알 수 있다.  버드나무 특성 물을 좋아해서 시냇가나 강가, 호숫가와 같은 곳에서 많이 자란다. 사진처럼 우뚝 서서 물에 닿을까말까 할 만큼 가지를 늘어뜨린 버드나무는 물가가 나오는 장면의 클리셰 수준. 산과 들에서도 잘 자란다.  커다란 버드나무를 보면 오래 버티고 섰던 고목 같지만 사실은 엄청나게 빨리 자라서 금방 커진다. 그래서 왕버들처럼 오래 사는 일부 종 말고는 수명이 그다지 길지 않다.  버드나무가 양기가 세다고 하여 귀신이 싫어한다는 속설이 있다. 그래서 무당들이 귀신을 내쫓을 때 버드나무 가지로 사람을 때리기도 하였다. 반면 서양에서는 우울을 상징하기도 한다. 썩은 버드나무의 원줄기는 캄캄할 때 빛이 나서 시골사람들은 이것을 도깨비불이라고 하기도 한다. 버드나무 꽃 4월쯤 되면 버드나무 꽃이 활짝 핀다. 버들개지, 버들강아지라고 부른다. 잎이 피기 전 물이 잔뜩 오른 가지에서 잎보다 먼저 피어나는데, 모양은 강아지풀과 비슷해서 그다지 볼품이 없지만 엄연히 꿀이 있어 벌레가 꼬이는 충매화다. 물만 있으면 잘 자라서 초겨울인 12월까지도 잎이 파릇파릇하다. 물이 갓 올라 파랗고 말캉말캉한 버드나무 가지로 버들피리를 만들 수 있다.  버들가지를 잘라서 목심부를 빼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