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이 좋아하는 나무 2위 벚나무
벚나무 소개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는 높이 약 20 m로 자라는 나무로 4~5월에 벚꽃을 피우고 6~7월에 열매(버찌)가 열린다. 넓은 의미로는 벚나무아속 벚나무절에 속한 나무들을 통틀어서 이르지만, 좁은 의미로는 벚나무절에 속한 종 중 '벚나무(Prunus jamasakura)'를 가리킨다. 자생력이 아주 뛰어나다. 팔만대장경판의 반 이상이 벚나무 재질임을 보아도 알 수 있다. 껍질도 매우 질겨서 조선 시대에는 주력 무기인 각궁을 만들 때 벚나무 껍질로 겉면을 감아 마무리를 했다. 또한 김구의 백범일지에도 "함경도에선 초가 대신 벚나무 껍질로 지붕을 만드는데, 한 번 뿌리를 내리면 여간해선 벗겨지지 않는 탁월한 응집력에 김구가 감탄했다"는 일화가 있다. 공해에도 강하여 자동차의 매연 등 공해가 심한 도심의 가로수로 심기도 한다. 위에 썼듯이 목재로서 아주 우수하다. 결이 아름답고 매우 단단하여 가구나 식기로 만들어 썼다. 잘 마른 상태에서는 웬만한 가정용 톱으로는 잘 잘리지 않고, 옹이에 걸리면 대패 이가 빠질 만큼 단단하다. 목재의 향이 좋아서 바비큐 훈연 목재로 최상이다. 다른 장미나무속이나 벚나무속 과실나무들도 마찬가지이나, 훈연재로 쓰면 아주 고급스럽고 우아한 향기가 나며 쇠고기, 돼지고기, 새고기에 다 잘 어울린다. 더불어 한반도의 웬만한 산에서 자생하고, 가로수로 많이 쓰는 나무라서, 자연히 꺾인 가지라든지 봄철 지자체에서 가로수 가지치기할 때 손쉽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수명이 짧은 것으로 오해하곤 하지만, 화엄사 올벚나무는 400년을 살았고, 일본에는 천 년이 넘는 올벚나무가 여러 그루 있는 등 종류에 따라 다르다. 나무 자체는 튼튼하고 상처를 입히기도 어렵지만 한번 상처가 나면 취약하다. 가지를 꺾으면 노출된 단면부터 썩어들어간다. 가지치기를 할 때에도 정말 최소한의 가지만 잘라야 한다. 봄철에 피는 벚...